아이폰 xs max 액정 우측에 수직으로 하얀 라인이 나오더니 터치가 안 먹기 시작해서 액정 전체 터치가 안되네요. 그래서 재부팅을 반복하고 터치를 만져봐도 반응이 없습니다. 자고 일어 나서 만져 보면 아래쪽이 미세하게 반응을 잠시 보이지만 몇 번 반응 후 터치가 먹통이 됩니다.
그래서 알리에서 액정을 주문했습니다. 90달라 정도 하네요. 11월11일에 사면 보다 저렴하겠지만 필요할 때 사는게 을 것 같아 구매했습니다.
그리고 오늘, 액정을 분리해 보기로 합니다.
예전엔 열풍기를 사용했는데, 그러다가 다른 부분도 열로 인해 고장이 나서 이번에는 찜질매트를 사용했습니다.
전자렌지에 3분30초 가열 후에 아이폰을 올려 넣고 5분 정도 기다렸습니다.
그런 후 밑에 나사를 푸르고 액정사면 주는 삼각형 플라스틱 모서리를 액정과 본체 사이에 찔러 넣어 한바퀴 돌렸더니 의외로 쉽게 분리가 됩니다.
분리는 예전 아이폰들보다 쉬워지는 것 같습니다. 단자 보호덮개을 분리 후에 단자 세 개를 분리하면 액정이 분리가 됩니다.
그런 후 페이스 아이디 부분을 분리하려는데 나사가 안풀리고 마모가 일어 났습니다. 그래서 다시 알리에서 Y드라이버를 구매하고 더 이상 마모되면 안될 것 같아 다시 액정을 본체 연결하고 나사 체결을 했는데요.
들어 오던 화면이 아에 안들어 오네요. 진동모드를 움직여 보면 전원은 켜져 있는데, 화면은 나오지 않습니다.
DSLR이 집에서 먼지를 뒤짚어 쓰는 기간이 길어 질수록 아이폰으로 찍은 사진들이 핸드폰 용량을 몇 배나 초과했습니다. 그러면서 자꾸만 최신 기종에 대한 갈증이 생기기 시작하면서 아이폰 12가 발표를 기다리는 마당에 아이폰 11 프로 맥스를 들이게 되었습니다.
언제나 그렇듯, 같은 ios를 사용하기에 인터넷을 할 때는 별 차이를 느끼지 못합니다. 하지만 카메라의 업그레이드는 눈에 확 들어 옵니다. 상위 기종이 발표될 때면 카메라 메뉴도, 사진 품질도 좋아져 자꾸 탐이 납니다.
아이폰 11 프로에서 가장 눈에 띄이는 것이 바로 세 개의 카메라인데요. 처음 발표할 때는 인덕션이라는 놀림을 받았지만 제 눈엔 너무나 가지고 싶은 모습을 하고 있었습니다. 물론 하드웨어 사양으로는 갤럭시를 따라 갈 수 없는 것 같습니다만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기술이 독보적이라 별차이가 없어 보이는 효과가 있는 것 같습니다. 여튼 갤럭시의 카메라가 탐나지만 제 손에는 아이폰이 늘 들려 있네요.
잠시 아이폰 11 프로 맥스 카메라 사양을 살펴 보겠습니다.
이미지는 애플 홈페이지에서 가져 왔습니다. 카메라에 대한 자세한 살명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세요.
렌즈는 13mm f1.4, 26mm f1.8, 52mm f2.0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DSLR 카메라에서는 표준 화각이 50mm입니다. 이보다 숫자가 작아지면 광각, 숫자가 커지면 망원렌즈라고 하는데요, 여기서는 52mm 화각을 망원이라고 표하네요, 그도 그럴 것이 풀프레임이 아닌 크롭 바디에 해당하기에 26mm를 표준으로 보는 것 같습니다.
요 세 개의 카메라가 탐이 났습니다. 하지만 소유하는 동시에 그 탐욕은 사라지기에 그저 그렇습니다.^^;;
여튼, 애플사에서 나이트모드를 광고했기에 밤을 찍어 보았는데요, 광각은 나이트모드를 지원하지 않고 표준, 망원에서만 지원하네요.
사진 품질은 c-mos가 워낙 작아서 많이 좋아졌다고 느껴지지 않습니다. 그저 셔터스피드가 적정노출을 계산해 10초 정도까지 셔터를 열어 빛을 받아들이는 밝게 찍힙니다.
아이폰 12는 4천만 화소로 나온다고 하니 c-mos크기는 필히 커져야 사진 품질이 좋아지겠죠. 그리고 이미지스테빌라이져 기능도 더 좋아져야 합니다. 물론 조리개 수치도 더 낮아져야 합니다. 좋은 이미지 품질을 위해서는요.
여튼 찍은 사진들 봐 주세요.
해를 찍어 보았습니다. 화이트홀과 플레어가 보이네요. 하지만 HDR기능이 좋아져 다른 부분들은 잘 표현하고 있습니다.
아래 세 장의 사진은 광각, 표준 망원으로 찍은 사진입니다. 광각에는 나이트 기능이 없기에 밝기 기준을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웹에 올리는 용도로는 충분합니다.
밤하늘을 찍어 보았습니다. 순서는 같습니다. 광각에서는 흐릿하게 별이 보이는데, 다음 두 사진에서는 오리온자리가 선명하게 보입니다. 아직은 DSLR과는 경쟁 상대는 안됩니다.
의도적으로 플레어 사진을 찍어 보았습니다. 빛이 있다면 손이나 종이를 이용해 빛이 렌즈에 들어가지 않게 해야 할 것 같습니다.
거리 풍경입니다. 이 정도면 웹용으로 훌륭합니다. 표현력이 아주 훌륭합니다.
문 안쪽이 바깥보다 상당히 밝은데도 불구하고 잘 펴현되었습니다.
10배로 당겨서 찍은 사진입니다. 상당히 어두운 곳인데 알아 볼 수 있네요.
아이폰 12의 카메라가 기대됩니다.^^ 이 정도면 취미로는 충분하겠네요. 열심히 찍어 보겠습니다.
아이폰 7 플러스 사진
아이폰 11 프로 맥스로 찍은 사진, 확대해서 보면 확실히 11 프로 맥스가 좋아 보이지만 그냥 보면 같아 보입니다.
요즘 다들 한다는 해외주식을 해보고 싶어 계좌를 만들었는데요. 엄청난 삽질을 했습니다. 앉은 자리에서 환전 수수료도 날리고 엉뚱하게 해외 주식 계좌는 cfd계좌를 만들어버렸습니다.
하나대투 설명을 보고 하는데도, 처음이고 누구의 도움도 받지 않고 진행을 하니 시간도 날리고, 계좌비밀번호도 마구 누르다 5회 오류가 났습니다. 거기다가 환전을 해서 cfd계좌에 넣어서 주식거래도 못하고 계좌 간에 그냥 달러로 이체하면 되는걸 환전해서 이체해서 환전수수료 이중으로 나가고, 낮시간에만 환전을 할 수 있다는 걸 잊지고 야밤에 막상 주식을 사려니 달러 없다고 나오고 비밀번호 로그인을 못해서인지 청체적 난국에 빠졌습니다.
저와 같은 실수를 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근데 막상 미국 주식은 수수료도 비싼 것같더라구요. 저야 우리나라 주식 남말 듣고 샀다가 다 날려서 남은 돈 가지고해서 날리면 그냥 경험값 지불한다는 생각에 달려 들었지만 신중해야할 것 같습니다. 실시간 주가 반영이 아닌 15분 늦게 표시가 되기에 문제가 많을 것 같아요. 실제로 야후의 주가와 비교해 보니 차이가 나네요.
저는 하나대투 국내주식이 있기에 해외 주식 거래를 위한 계좌를 앱을 통해 쉽게 만들었습니다. 물론 몰라서 삽질을 핬지만 알고 나니, 엄청 쉽습니다.
일단 하나대투 앱이 하나로 합쳐짐니다. 하나금융투자 프로입니다. 아이폰의 경우 앱스토어에서 요걸 내려받기 합니다.
기존에 하나대투 앱을 사용한다면 공인인증서, 아이디, 비밀번호, 관심종목 등등을 공유하기에 따로 손댈 필요가 없습니다.
하나금융투자프로 즉 1Qpro를 다운 받아 접속을 해서 화면 좌측 하단에 있는 메뉴버튼을 누르면 아래 사진처럼 위에 메뉴가 있는데요, 뱅킹/자산 버튼을 누릅니다. 아래 좌측 매뉴의 계좌개설을 누르고 우측 하위매뉴 맨 아래의 근거계좌로 상품계좌 개설을 눌러 따라 하면 해외 주식 계좌를 만들 수 있습니다.
그 다음 해외주식투자를 하려면 투자자 정보확인서를 공격투자형으로 해야 한다고 합니다. 요건 살문지 답하는거라 위험한거 선택하면 됩니다.
위치는 고객정보관리의 투자자정보확인서 메뉴 눌러서 하시면 됩니다.
요즘 뜨거운 관심 속에 롤러코스터를 타고 있는 니콜라 주식을 비교해 보면, 하나대투에서는 15분 전 것을 보여주기에 야후랑 거래가격이 다릅니다. 앱에서는 33.1505달러고 야후에서는 33.24달러입니다. 이것 이외에도 주의해야할 것이 많을 것 같아요.